본문 바로가기
전염병주식회사

전염병 주식회사 시나리오 - 인조 장기 공략

by hyper_chess1 2025. 3. 23.
728x90
반응형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염병 주식회사 시나리오
인조 장기를 보겠습니다.


의료 과학의 신속한 발달은
고급 인조장기의 생산을 허용하게 됩니다.
생산이 증폭되면서, 장기들을 대체하는 능력이
평균 수명을 의미심장하게 개선할 것입니다.
인류가 영생에 근접한 것일까요?

(시나리오 공식 설명)


인조 장기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다른 시나리오와 다르게,
특수 전염병(뇌신경 기생충, 네크로아, 유인원
쉐도 전염병)으로 플레이 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인조장기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발각 이후 치사율이 굉장히 낮아지기 때문에
공략법을 모르면 깨기 어려운 시나리오입니다.

인조 장기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바이러스를 하는 걸 추천하는 편입니다.
기본적으로 증상을 포인트가 들지 않고,
자동으로 찍히는 돌연변이가 중요하거든요.

유전자 코드


유전자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스타트 부스터
  • 다윈주의자
  • 아쿠아전파력
  • 극한성생물
  • 감염경로 비용 고정

저렴하고 한전한 인조 장기를 만든 발명가에게
의료 노벨상이 수여되었다고 합니다.

이 인조장기로 인해서 사람들을 죽이는
우리들 입장에서는 별로 좋지 못하긴 하죠.


첫 스타트는 인도로 시작했습니다.
인도의 장점은 서쪽은 사우디, 동쪽은 중국으로
퍼트리기 좋은 국가가 양쪽에 있다는 게 장점이죠.



일단 이 시나리오 처음은 비슷합니다.
전염성에서 물과 대기를 계속 찍어주면서,
능력에서는 바이러스의 불안정 2 정도 찍어줍니다.

이후 계속 괴사 루트(발진-땀흘림-피부병변-괴사)로
가도록 계속 하면서, 물과 대기를 계속 올려주세요.


이후 전염병이 선진국에 퍼지면,
약물 저항력과 추위를 찍어주세요.

그린란드 감염이 안되는 걸 아에 막고자
저는 추위 2까지 다 찍었습니다.



전염병이 발각되고 나면
얼마 후, 다음과 같은 팝업이 뜹니다.
인류가 바이러스로 피해를 입은 장기를 새 인조장기로
대체하면서, 치사율이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이 상황에서는 질병을 전부 다 찍어서
치사율을 엄청나게 높게 하지 않는 이상,
거의 안 죽어서 치료제 개발 속도에 밀립니다.

하지만 이걸 뚫을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이 시나리오에만 있는 증상 콤보인데,
바로 과민증+정신이상입니다.


다음 파란색으로 표시한 증상 2개를
둘 다 찍으시면 증상 콤보가 발동됩니다.


감염자가 자신의 장기를 뜯어내면서
매우 잔인한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 때문에 치사율 감소 디버프가
완전히 사라지게 됩니다.

단, 이 증상 콤보를 쓰기 전에,
섬 나라 등이 감염이 잘 되었는지랑

치사율 때문에 감염자가 전파 전에 죽는
상황이 있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만약 전부 다 퍼졌다면
이후에는 치사율 올리고, 치료제 막으며
게임 끝내면 됩니다.


총점 59212점
시간 396일, 치료제 48%로
바이오 2점을 달성했습니다.

만약 제가 후반에 감염보다는
치사율이나 치료제 막는 쪽으로 갔으면
어땠을까 싶은 생각이 들긴 하네요.

쨌든, 이번 글은 여기까지고요.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시나리오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게임 플레이 영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