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c="https://cdn.ampproject.org/v0/amp-auto-ads-0.1.js"> 박테리아 메가어려움 공략 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humbnail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전염병주식회사

박테리아 메가어려움 공략

by hyper_chess1 2025. 6. 22.
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염병 주식회사의 박테리아

메가 어려움 공략을 해보겠습니다.

 

 

전염병 주식회사 박테리아

 

썸네일

전염병 주식회사에서 기본적인 질병은 총 7가지로,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프리온, 나노바이러스, 생물무기 이렇게 있습니다

그 외의 스폐셜 바이러스나, 시나리오 바이러스는 다음에 공략 글을 써 보기로 하고, 이번 글은 박테리아를 다뤄볼 겁니다.

박테리아는 기본적으로 꽤 무난한 질병인데,

다른 점으로는 다른 전염병 유형에 비해서 혹독한 환경(추위, 더위)에 강하다는 점이 있고,

박테리아의 특수 능력으로는 박테리아 내성이 있는데, 추위나 더위 등 기후에 대한 내성을 추가하는 능력입니다.

유전자 코드는 기본적인 세팅으로 짜면 되는데

저는 이렇게 짜 봤습니다.

스타트 부스터: 게임 처음 시작시 DNA 8포인트 가진 상태로 시작

다윈주의자: 전염병의 돌연변이 확률 증가

항공전파력: 항공기 전파력 증가

(만약 중국, 인도 스타트 하실거면, 국경전파력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저는 이번 공략에서는 사우디를 할 생각이라서, 항공전파력을 했습니다.)

미생물: 건조 기후에서 전파력 증가

(극한성 생물 하셔도 됩니다)

증상값 고정: 증상을 찍을 때, 사용 포인트가 더 올라가지 않음, 하지만 치료되기 쉬움

그럼 게임 시작해 봅시다.

여기서 보통 중국, 인도, 사우디 3개를 많이 하는데, 저는 이미 사우디에 맞도록 유전자 코드를 셋팅했기 때문에,

사우디로 시작하겠습니다.

여기서 괴사를 찍는 것이 꽤 좋은데, 괴사 증상

전에 피부 병변이 전염성도 꽤 늘려주기도 하고요.

어려움에서는 계속 질병을 퇴화하면서 포인트를 쌓고 전 세계 인구가 감염될 때 치사율 늘려서 감염자를 다 죽이는 전략을 쓰지만,

메가어려움에서는 그 전략이 아에 안 통하기 때문에, 초반에 질병을 찍어서 전염속도 높히는게 중요합니다.

괴사가 치사율로 인해 감염자가 사망한 수 만큼

전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괴사는 있다면

보통 필수로 찍는 편입니다.

그리고 사우디가 항공기 전파가 꽤 좋기 때문에,

항공기 전파를 늘리는 대기 1,2를 우선 찍어주고,

선진국(유럽, 일본, 미국, 호주 등)에 감염자가 나올 때, 약물 저항력을 찍어서, 전파 속도를 더 높여주세요.

이후에는 섬 나라를 공략해야 하는데, 제일 악질인 섬 나라가 총 5개 정도 있습니다.

마다가스카르, 카리브해, 뉴질랜드, 아이슬란드, 그린란드(얘가 제일 문제)

이 섬 나라는 보통 인구수도 적은데다가,

배도 잘 안 가서 전염이 잘 안되고,

무엇보다 질병이 너무 위험하다 싶으면 감염자가 없어도 그냥 항구나 공항을 잠궈버리기 때문에,

클리어를 못하게 만드는 제일 큰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저는 물도 찍고, 진짜 전파가 안된다 싶으면 극적 부유세균도 찍는 편입니다.

그리고 그린란드, 아이슬란드가 안될 때는 쥐를 찍는 편인데, 그린란드 근처인 영국, 캐나다가 선진국이기 때문에, 쥐를 찍으면 그린란드나 아이슬란드가 감염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아프리카 같은곳은 중국 등을 선택할 때, 감염이 잘 안될 수 있는데,

여기 표시된 메스꺼움-구토-설사-혈변 루트로 가시면, 아프리카 같은 빈곤국도 잘 퍼집니다.

그리고 능력은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감염을 위해서, 추위 1,2와, 박테리아 고유 능력인

박테리아 내성 1,2,3 까지 찍었습니다.

(물론 추위 2, 박테리아 내성 2 정도만 찍어도 잘됨)

더위는 사우디 스타트라서 안 찍었는데, 만약 중국 등을 선택한다면 더위도 찍어야 아프리카 전파가 잘됩니다.

이렇게 모든 국가에 감염자가 생겼다면, 이제 치사율을 올릴 차례입니다.

치사율을 많이 올리는데 좋은 건

총체적 장기부전, 출혈성 쇼크, 체내출혈, 면역억제 등이 있습니다.

이 증상들은 포인트가 많이 필요하고, 다른 증상을 찍을 때 마다 포인트를 더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증상값 고정은 필수로 있어야 합니다.

만약 치료제 수치가 높거나, 고득점을 위해서라면, 치료제 개발을 최대한 막아야 합니다.

여기서 흰색으로 표시된 3개 능력이 바로

유전자 개편으로, 치료제 개발 게이지를 깎는 역할을 합니다.

치료제 개발 게이지와 비례해서 깎기 때문에, 나중에 치료제 개발이 많이 진행될 때 사용하는게 더 좋습니다.

하늘색으로 된 것이 바로 유전적 경화로,

약물 저항력과 마찬가지로 치료제 개발 속도를 지연하도록 만듭니다. 다만 선진국에 더 빨리 퍼지도록 하지는 않지만요.

이 능력들을 사용해서 치료제 개발을 최대한 막습니다.

이렇게 모든 감염자가 감염되고, 인류는 멸종하며

게임을 클리어하게 됩니다.

그린란드랑 마다가스카르 때문에 3트 정도 해서 클리어 했는데,

시간은 324일 걸렸고, 치료제는 48% 정도로 바이오 4점 클리어를 했습니다.

치료제가 막 30%대 되어야지만 바이오 5점 클리어가 되나봅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고요.

다음 글에서는 바이러스 메가어려움을 해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